🌸고종 -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 그의 도전과 비극🌸
본문 바로가기
역사 속 "인물 재해석" 이야기

🌸고종 -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 그의 도전과 비극🌸

by 10분의 쉼표 2024. 10. 20.
1884년에 퍼시벌 로웰 (Percival Lowell)이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인 고종을 촬영한 사진. 로웰은 19세기 후반 동아시아에 대한 연구와 여행으로 유명한 미국인 외교관이자 작가였으며, 고종에 대한 글이나 초상화는 그 당시 조선의 황제로서 고종의 모습을 외부 세계에 소개하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이미지 출처: Wikimedia Commons)
 
고종(1852-1919)은 조선 왕조의 26대 왕이자 대한제국의 첫 번째이자 마지막 황제였습니다. 그는 조선이 근대화의 물결에 휘말리고, 일본의 침략에 직면하는 동안 국가를 지키기 위해 근대화 개혁외교적 노력을 펼쳤지만,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하게 됩니다. 오늘은 고종의 복잡한 생애와 그가 맞닥뜨린 역사적 도전들을 깊이 있게 살펴보며, 그의 통치가 한국 근대사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고종의 즉위와 흥선대원군의 시대

<조선시대 흥선대원군의 초상화입니다> 흥선대원군은 조선의 26대 왕인 고종의 아버지로, 조선 후기에 강력한 개혁 정책을 추진하며 조선을 다스렸던 정치가입니다. 이 초상화는 그의 모습을 기록한 것으로, 그 당시 흥선대원군의 외모와 권위를 나타내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이미지 출처: Wikimedia Commons)

고종1852년에 태어나 1863년조선의 26대 왕으로 즉위했습니다. 당시 고종은 나이가 어렸기 때문에, 그의 아버지 흥선대원군이 섭정 역할을 하며 사실상 조선을 다스렸습니다. 흥선대원군은 강력한 개혁 정책을 통해 왕권을 강화하고 내부의 부정부패를 척결하는 데 힘썼으며, 특히 경복궁 중건과 같은 공사를 통해 왕실의 권위를 높였습니다.

하지만, 흥선대원군의 정책 중 가장 두드러진 것은 쇄국정책이었어요. 그는 서양 열강과의 접촉을 피하고, 문을 굳게 닫은 채 조선의 전통적인 질서를 지키려 했습니다. 이 정책은 외세의 침략으로부터 조선을 일시적으로 지키는 데는 성공했지만, 국제 사회에서의 고립을 불러왔습니다. 이로 인해 조선은 근대화의 흐름에서 뒤처지게 되었고, 고종이 직접 정치를 시작할 때까지 큰 외교적 도전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 고종의 근대화 노력과 대한제국의 선포

<청일전쟁 동안 일본 제국 육군 병사들이 Murata Type 22 소총으로 사격을 하고 있는 장면> 청일전쟁은 1894년부터 1895년까지 조선에서의 영향력을 두고 청나라와 일본이 벌인 전쟁입니다. 이 전쟁에서 일본군은 Murata Type 22와 같은 최신식 무기를 사용하여 군사적 우위를 점하며 청나라를 상대로 승리하게 됩니다.  (이미지 출처: Wikimedia Commons)

고종은 친정을 시작한 후, 아버지의 폐쇄적인 정책에서 벗어나 조선을 근대 국가로 만들기 위한 다양한 개혁을 시도했습니다. 그가 가장 먼저 직면한 문제는 급변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조선이 어떻게 독립국으로서의 위상을 유지할 것인가 하는 것이었죠. 당시 서양 열강은 아시아에 대한 침략을 본격화하고 있었고, 일본은 그들 중 가장 먼저 근대화에 성공하며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었습니다.

1894년에 일어난 청일전쟁은 조선의 운명을 크게 바꾸어 놓았습니다. 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조선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했고, 그 결과로 조선은 청나라의 속국에서 벗어나게 되었지만, 동시에 일본의 강력한 압박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국제적 상황 속에서, 고종은 1897년대한제국을 선포하고 스스로 황제로 즉위했습니다. 이는 자주 독립국으로서 조선이 세계 열강 속에서 당당히 자리잡고자 하는 의지를 표명한 사건이었어요. 대한제국의 선포는 고종이 국가의 주권을 지키기 위해 선택한 중요한 전략이었지만, 당시의 국내외 정세는 매우 어려웠습니다. 일본의 압박과 국내 반발 속에서 근대화 개혁을 지속하는 것은 고종에게 큰 도전이었습니다.

📜 갑오개혁과 을사늑약

갑오개혁(갑오경장)시기 동안 조선의 군대. 갑오개혁(1894-1896)은 조선이 근대화로 나아가기 위해 추진한 일련의 정치, 사회, 경제적 개혁이었으며, 군대 개혁도 그 중요한 일환이었습니다. 이 시기 동안 조선은 군사력을 근대화하기 위해 신식 군대를 도입하고, 일본의 영향을 받아 군사 체제를 서구식으로 개혁하려고 했습니다. 갑오개혁 전후로 별기군(신식 군대)이 창설되었고, 기존의 5군영 체제를 폐지하는 등의 변화가 있었습니다. 이는 전통적인 조선 군대가 점차 근대적 군사 조직으로 변모해 가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또한, 무기와 군사 훈련 방식이 서구식으로 개편되었으며, 신식 군사 제도를 통해 군사력 강화를 목표로 했습니다.  (이미지 출처: Wikimedia Commons)
<1905년 고종이 영국으로 보낸 을사늑약 철회문> 고종 황제가 1905년에 체결된 을사늑약(을사조약)의 무효화를 주장하며 영국에 보낸 서신을 의미합니다. 을사늑약은 일본이 조선을 강제로 보호국화 하면서 조선의 외교권을 박탈한 조약입니다. 고종은 이 조약이 강압적으로 체결 되었기 때문에 적법하지 않다고 보고, 외교적 으로 이를 철회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이미지 출처: Wikimedia Commons)

고종은 대한제국을 선포한 후, 갑오개혁을 통해 조선 사회의 변화를 꾀했습니다. 갑오개혁은 신분제를 철폐하고, 새로운 행정 제도를 도입하여 중앙집권적인 통치를 강화하려는 시도였죠. 특히, 군사력의 개편경제 제도의 개선은 고종이 추진한 주요 개혁 중 하나였습니다. 고종은 조선을 근대화된 국가로 탈바꿈시키고자 했지만, 이러한 시도는 내부 반발과 일본의 압박 속에서 큰 성과를 내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1905년, 조선은 운명의 을사늑약을 맞이하게 됩니다. 을사늑약은 일본이 조선의 외교권을 강제로 박탈한 조약으로, 이로 인해 조선은 실질적으로 일본의 보호국이 되고 말았습니다. 고종은 이 조약을 인정하지 않고 이를 뒤집기 위한 외교적 노력을 이어갔습니다.

🌍 헤이그 특사 사건과 고종의 퇴위

1907년 헤이그 평화회의 동안, 국제 평화운동가들이 모여 Cercle Internationale (국제 서클)이라는 단체를 결성했습니다. 이 단체는 Le Courrier de la Conference 라는 신문을 발행하고 배포하여, 평화 회의에 대한 최신정보를 제공했습니다. 이 이미지에는 회의에 파견된 한국대표단의 사진이 실린 신문이 담겨 있는데, 이는 헤이그 특사 사건 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Wikimedia Commons)

고종이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알리고자 한 시도 중 가장 유명한 사건이 바로 헤이그 특사 사건입니다. 1907년, 고종은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국제 평화 회의에 특사들을 파견하여 조선이 일본의 부당한 침략을 받고 있음을 국제사회에 호소하려 했습니다. 이준, 이상설, 이위종 세 명의 특사들은 조선의 입장을 알리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였으나, 강대국들의 무관심과 일본의 외교적 압력으로 인해 이 시도는 실패로 끝났습니다.

헤이그 특사 사건은 고종이 외교적 해결을 통해 국가의 독립을 지키려 했던 마지막 발악으로 평가되며, 고종의 퇴위로 이어졌습니다. 일본은 고종의 외교적 시도가 실패한 후 그를 강제로 퇴위시켰고, 그의 아들 순종이 즉위하게 되었습니다.

🏰 대한제국의 몰락과 한일 병합

<1910년 8월 22일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 순종(이척, 이척 李坧)이 서명하고 날인한 이완용의 일반 위임장> 이완용은 1910년 한일 병합 조약을 주도한 인물로, 이러한 위임장은 당시 중요한 외교나 정치적 결정에서 이완용에게 막강한 권한을 부여했음을 시사합니다.  (이미지 출처: Wikimedia Commons)

고종이 퇴위한 이후에도 조선은 점점 더 일본의 지배력 아래 놓이게 됩니다. 일본은 점차 조선 내정을 장악하며, 1910년에는 결국 한일 병합 조약을 체결하여 조선을 완전히 일본의 식민지로 만들었습니다. 이로 인해 대한제국은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죠.

고종은 퇴위 후 덕수궁에 유폐된 채로 쓸쓸한 여생을 보내게 됩니다. 그의 통치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지만, 그의 근대화 시도외교적 노력은 후대에 재평가되고 있습니다.

💬 고종의 사망과 3·1운동

<1919년 3월 1일, 조선 서울에서 열린 광무황제(고종)의 장례식, 당시 한국에 거주하던 미국기자(1875–1948)가 촬영한 사진> 이 장례식은 서울에서 열렸으며, 당시 한국에 거주하던 한 미국 기자가 촬영한 사진입니다. 고종의 장례식은 많은 조선인들에게 큰 의미가 있었고, 이는 곧바로 3·1운동의 촉발 원인이 되기도 했습니다.  (이미지 출처: Wikimedia Commons)

고종은 1919년 덕수궁에서 사망했습니다. 그의 죽음에 대해서는 독살설이 제기되기도 했지만, 공식적으로는 병사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고종의 죽음은 조선 민중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이는 같은 해 일어난 3·1운동의 촉발 원인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고종의 죽음을 일제의 압박 속에서 민족의 자존심이 무너진 상징으로 여겼고, 그의 죽음이 독립운동을 향한 불씨를 당겼다고 평가합니다.

💬 고종의 역사적 평가

<선글라스를 착용한 고종의 어가행렬> 고종이 선글라스를 착용한 모습은 당시로서는 매우 이례적인 장면으로, 그가 서양 문물을 받아들였다는 상징적인 의미로 볼 수 있습니다. 어가행렬은 전통적으로 왕이 이동할 때 동행하는 의식적인 행렬을 말하며, 이 장면은 조선 왕실의 전통과 고종의 근대화를 향한 개방적 태도를 동시에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이미지 출처: Wikimedia Commons)

고종은 비극적 군주로 기억되지만, 그의 근대화 시도자주독립을 위한 외교적 노력은 결코 간과할 수 없습니다. 조선이 근대화 과정에서 겪은 고통과 혼란 속에서 그는 끝까지 국가의 자주성을 지키기 위해 분투했습니다. 그의 통치 시기는 조선이 근대 사회로 넘어가는 중요한 전환점이었으며, 오늘날 한국 근대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결론

고종은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로, 조선이 근대화의 혼란 속에서 외세의 침략을 막기 위해 끝없이 노력한 인물이었습니다. 비록 그의 시도는 일본의 식민지화로 이어졌지만, 그의 근대화 개혁외교적 노력은 한국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고종의 비극적 삶은 한 시대의 끝을 상징하며, 우리에게 자주독립근대화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일깨워줍니다.

10분의 쉼표에서 오늘도 여러분과 함께 고종의 삶을 되돌아보았습니다. 그의 비극적인 마지막과 그가 남긴 유산을 통해, 우리는 오늘날 우리의 역사를 다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도 또 다른 인물의 이야기를 들고 찾아올게요! 😊


출처

반응형